FCFF - 매출 추정해보기
안녕하세요
파수꾼 st 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현금흐름 추정에 가장 꽃이자 가장 중요한 매출의 추정에 대한 내용을 얘기해보겠습니다
외부시장의 분석
회사가 영업활동하고 있는 외부시장을 먼저 분석해보아야 합니다. 회사가 아무리 좋더라도, 외부시장에 따라서 매출은 달라질 수 있으니까요..(코로나만 보더라도)
1. 거시경제지표
먼저 거시경제지표를 볼 수 있을 거에요. (환율, 물가, gdp 등)
또한, 거시경제 전망에 대한 수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conomist 등 참고)
거시경제지표는 회사 매출의 P 와 Q 모두에 영향을 미치므로 꼭 확인하시고, 가정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2. 산업구조분석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산업이 어떤 산업이고, 지금 상황이 어떤지, 앞으로 전망이 어떤지 등에 대해 검토하셔야됩니다.
증권사리포트나, 기타 산업분석 보고서 등을 참고하셔서, 산업에 대해 공부하셔야 합니다 ㅎㅎ
3. 시장규모 등
A라는 산업에서 회사가 몇위정도 하는지, 어느정도 점유율을 갖고 있는지도 확인하셔야되고
해당 시장이 전체 규모가 어느정도인지도 확인하셔야 합니다.
내부분석
1. 회사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회사가 갖고 있는 CORE 역량이 무엇인지 고민하시고, 그 역량이 타 경쟁사 대비 경쟁력이 있는지를 검토하세요.
2. 판매 ROOT
회사가 어떤 시장에서 어떤 고객에게 판매하는지, 판매하는 방식은 어떤 방식인지, 어떤 채널을 이용해서 판매를 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세요.
3. 생산 및 조달계획
판매를 위해서 재고 생산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으며, 재고 생산을 위한 구매계획, 자금조달계획 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매출추정 방법론
매출추정방법론은 크게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Top down Approach
거시경제 -> 산업 -> 시장 -> 회사 이런 방식으로 매출을 추정합니다.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산업의 성장률에서 그 회사가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을 이용하여
회사의 매출액을 추정합니다.
당연히, 산업의 규모, 성장률, 점유율에 대한 자료는 정확해야 해당 추정은 정확해집니다. 하지만, 신사업 등을 영위하는 회사에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2. Bottom up Approach
회사가 판매하는 제품군별로 가격과 수량을 추정하여 전체 매출액을 추정합니다.
예상판매수량에 예상판매단가를 곱하면 예상 매출액이 나옵니다 ㅎㅎ
회사의 과거 실적, 판매계획, 시장 전망 등을 분석하여 예상판매량과 예상판매가를 예측해서 매출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예측한 판매수량이 회사가 보유한 capa와 맞는지, 판매단가가 시장가격의 변동률에 따라 가는 지 등 P와 Q에 대해 세세하게 확인하셔야 합니다.
2가지 방법은 독립적이라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방법입니다. 각 방법을 사용할 때 서로 DATA를 확인하셔서, 해당 추정이 어느정도 합리적인 Boundary 내에 들어오는지도 확인하시면 좋습니다.